천수만 이무기

살아서 보기힘든 사진 한장 본문

자료모음/잡동사니

살아서 보기힘든 사진 한장

천수만이무기 2010. 11. 2. 10:52

 

 

 

살아서 보기힘든 사진 한장 
 

  

무덤속에서 본 하늘입니다.

 이 사진을 본 순간!

 우리 모두도 죽으면 저 땅 속에 묻히겠지...

 그리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겠지...

 

저 자리에 눕게 되는 그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는 삶을 살다 가야 하리라...

 그런 생각으로 자신을 한 번 더 되돌아 보게 되었습니다.

 

 도산 안창호 선생님께서

 이 민족의 청년들에게 하신 말씀이 생각 납니다.

 "죽더라도 거짓이 없어라."

 저 하늘 아래 거짓 없이 진실된 삶을 살다 하늘이 부르시면

 밝은 마음으로 그분 앞에 우리 모두가 설 수 있기를...

 그 바램을 가져 봅니다.

 

 우리 모두 열심히 그리고 행복하게..

서로 사랑하며 살아갑시다~~

 

 

 그리고 좋은글 하나!

 

 가톨릭에서는 11월을 위령성월(慰靈聖月)로 정하고 있다.

 11월 한 달은 ‘죽은 자의 영혼을 기억하면서 기도하는 성스러운 달’로 비워 놓는 것이다.

 

998년 클뤼니 수도원의 5대 원장이었던 오딜로(Odilo)가 11월 2일을 위령의 날로 지내도록

수도자들에게 명령한 이래로, 11월은 위령성월로 정착이 되었다.

1년 중에서 11월 한 달 만큼은 삶 보다는 죽음에 대해서 사색해보자는 취지인 것 같다.

 

 대부분의 종교에서는 죽음을 사색하는 수행법과 의례를 마련하고 있다.  

 불교에서는 백골관(白骨觀)이 대표적이다.  시체 옆에서 몇 달간을 머물면서

육신이 썩어서 백골로 변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수행법이다.  

 백골관을 하고 나면 탐욕이 모두 떨어진다고 한다.

 

 티베트의 조장(鳥葬)은 시체를 독수리가 물어가도록 하는 장례법인데, 

목격자들의 말에 의하면 현생에 악업을 많이 쌓았던 시체는

독수리도 잘 물어가지 않는다고 한다.

 

 조선의 유교에서는 3년 시묘를 하였다.

부모의 묘 옆에서 움막을 짓고 3년 동안 죽음과 부모의 은혜에 대해서 생각하였던 것이다.  

조선 시대에 부모상을 당하는 평균 연령대는 30대 초반에서 40대 중반까지인데,  

이 시기는 중년의 나이이다. 정신없이 바쁘게 살기 마련인 중년의 한 시기에 철저하게

죽음이란 무엇인가를 묵상하도록 한 제도적 장치가 바로 3년 시묘이다.

                                                                                                                                                                            

 

'자료모음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엿 먹어라!!  (0) 2011.03.06
절기 해설  (0) 2011.02.20
10월의 마지막 밤  (0) 2010.10.31
한복 여인(그림)  (0) 2010.10.25
대한제국의 ‘국새(國璽)’  (0) 2010.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