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이무기
와이료(蛙餌料) 이야기 본문
와이료(蛙餌料) 이야기
나이든 사람들이 부지불식간에 내뱉는 말이 있다.
"잘봐 주라고 와이료를 먹였다".
"어려운일인데 와이료를 쓰고 해결했다".는등
이말 와이료(蛙餌料)가 모두 일본말로 알고 버려야할 일본어투 용어라고 하지만 순수한 우리말 해석이 있다.
일본어로는 회뢰(賄賂).뇌물(賂物)을 와이로 또는 아이로로 발음되지만 우리나라에는 와이료에 대해서
해학적이고 재미난 유래가 따로 있다.
이말의 어원과 뜻을 풀어본다
와(蛙)는…개구리 와(蛙)자이다.
이(餌)는…먹이 (餌)자이다.
료(料)는…되질할 (料)자이다. 즉 계량할 수 있는 값이다.
한마디로 "개구리 밥값" 이 와이료인 셈이다.
이말의 유래는 이러하다.
고려 명종 임금이 백성들의 삶을 파악하기 위해 야간에 미복으로 갈아입고 잠행을 하고 있었다.
임금이 궁성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에 도착해보니 날은 어둡고 배는 몹씨 고파왔다.
그때 희미한 불빛을 보고 찾아드니 찢어지게 가난해 보이는 초가에서는 어떤 선비의 낭랑한 글 읽는 소리만 들려왔다.
주인을 찾은 임금은 “지금 내가 몹씨 시장하니 아무것이나 좋습니다.” 하고 요기할 것을 청하였다.
선비가 말하기로“지금 저희 집은 너무나 가난해서 먹을 것이라곤 냉수 한 사발 밖에는 대접할 것이 없습니다.
조금만 더 내려가면 주막집이 있으니 오늘밤은 그곳에서 유숙하십시오.” 라고 말했다.
임금이 선비집을 막 나올려고 보니 이집의 벽에는 이런 글이 붙어 있었다.
"有我無蛙(유아무와)가 人生之恨"(인생지한)이다. 문장의 내용인즉,
나의 학문적실력은 충만하나 개구리가 없는 게 내 인생의 한이로다."
한 번도 읽어본 적이 없던 이상한 글을 본 임금은 이 말이 무슨 뜻인지를 선비에게 물었다.
별 것도 아니라며 부끄러워하는 선비를 재촉해서 이글의 해석을 임금이 얻어냈다.
중국고사의 우화에서 꾀꼬리와 까마귀(또는 뜸북새)가 서로 다투는데 각각 자기 목소리가 훨씬 아름답다는 것이다.
둘만으로는 승부를 가름 할 수가 없어서 이웃의 두루미를 심판으로 내세우고 그 결과발표는 3일후로 정했다
자신만만한 꾀꼬리는 3일을 기다리는데 까마귀는 두루미가 가장 좋아하는 개구리(蛙餌料)를 잡아서 꾀꼬리 모르게 매일같이 바쳤다.
3일후의 결과는 개구리를 뇌물로 바친 까마귀가 꾀꼬리의 목소리 보다 더 좋다는 판정이 나 버렸다.
이런 우화를 자신의 처지에 비추어 즉 '有我無蛙 人生之恨'은부패한 조정에 대한 自嘆(자탄)의 글이라고 선비가 말했다.
선비의 이야기를 모두 듣고 난 임금은 "조정에서 실시하는 과거가 5일후에 있는 것을 아느냐라"고 물으니 이때 선비의 대답이
"내가 십년을 한결같이 옳은 정답을 적어 냈으나 매번 낙방인 것은 개구리밥 즉 조정의 시험관에게 뇌물로 바칠게 없어서 그렇다".
이제 과거를 포기 하겠노라’고 말했다. 임금이 다시 말했다.
‘과거를 앞두고 궁성에 내가 먼저 올라 갈려고 한다. 나도 시골의 별 볼일 없는 서생으로서 당신보다 더한 낙방을 했으나
희망을 잃지 않고 이번 과거를 또다시 보러 간다. 나와 같이 한 번 더 과거에 참가하자.’고 졸랐다.
결국 가난한 선비는 임금에게 설득되어 과거를 치루기로 결심했다
5일후 과거장의 화제는 이러하였다.
有我無蛙 人生之恨 !.
모든 과거생들이 처음 보는 생소하고 어려운 문제였으나 가난한 선비는 정성껏 해답을 써내려간 결과 가난한 선비의 장원급제였다.
장원급제요!” 소리에 감격해서 고개를 들고 보니 5일전에 배고파 찾아왔던 시골서생이 임금님의 용상에 앉아서 미소를 짓고 있었다.
그 후 이 가난한 선비는 어진 성군아래 충성스런 신하로서 천수를 다했다고 했다.
이 선비의 이름은 고려 명종때의 유명한 문신인 백운거사 이규보임을 밝혀 둡니다.
'글모음 >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이 오는 소리 (0) | 2013.09.18 |
---|---|
가을이 묻어 왔습니다. / 김진학 (0) | 2013.09.04 |
이 세상에 진실로부터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0) | 2013.08.05 |
효도는 흉내만 내도 좋은 거야. (0) | 2013.06.18 |
아름다운 사람으로 남고 싶다. (0) | 201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