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이무기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본문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호세 무히카 (Jose Alberto Mujica Cordano)우루과이 대통령
취임 전부터 살고 있던 부인 소유의 집.
이 집에서 취임 후에도 대통령 관저가 아닌 농가에 살고 있다.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히치하이킹(승차요청)을 했더니 조수석에 국회의원이 앉아있고,
깜짝 놀라 운전석을 보니 대통령이 앉아있었다.
소설 같은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우루과이에 거주하고 있는 ‘헤랄드 아코스타’는 자신이 일하는
공장에 출근했으나 신분증 기한 만료로 작업장에 들어가지 못했다.
걸어서 집으로 돌아가던 그는 더위를 피해 히치하이킹을 시도했고,
관용차 한 대가 그를 태워줬다.
차 안에 들어선 헤랄드는
깜짝 놀라고 만다.
운전석에는 호세 무히카 우루과이 대통령이,
조수석에는 부인인 루시아 토폴란스키 상원의원이 있었다.
헤랄드는 그때 상황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대통령이 나를 차에 태워줬다.
그리고 상황을 설명하니 집까지 데려다 주셨다.
이 사실을 나는 믿을 수 없었다.
대통령 부부는 매우 친절했다.
그날 하루 동안 비록 일하지는 못했지만,
이 짧은 여행은 더없이 소중하고 유쾌했다"
자신의 월급 상당수를 기부하는 것으로 알려진
호세 무히카 대통령은 세상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이다.
지난 5년의 재임 중에 받은 월급의 약 6억 원을 기부했고,
이 중 4억3천만 원은 서민들을 위한 주택 건설 사업에 사용됐다.
올해 초 신고된 재산은 약 3억 5천만 원인데 이 중 1억5천만 원은
농장이고 나머지는 약간의 현금과 트랙터 2대, 농기구,
1987년형 오래된 자동차 한 대 등이다.
이 중 농장은 부인 소유다.
그는 호화로운 대통령 관저 대신 평범한 시민들의
생활을 느끼기 위해 여전히 농장에서 지내고 있다.
그가 기부하는 이유도
평범한 시민들의 평균 소득에 맞춰 살기 위해서다.
또, 지난해 아랍의 부호로부터 대통령의 오래 된 차를
100만 달러에 사겠다는 제의를 받았지만 그는 제안을 거절했다.
이 사실이 화제를 모으자 그는
"내가 타는 차에 큰 관심을 두지 않기 바란다.
모든 자동차에는 가격이 붙어 있지만, 삶에는 가격이 없다"고 말했다.
자동차에 대한 관심을 거두고
인간의 삶의 문제에 더 많이 고민하라는 뜻이다.
무히카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물질적 풍요가 아니라 삶을 누릴수 있는 시간이다. 또한 우리가 지구에 온것은 발전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출처 : VINGLE 《뉴스와 이슈》에서 김지영 정리
멋지다. 우루과이!!
우루과이 대통령의 연설문입니다.
****
이곳에 오신 정부 대표와 관계자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 인사를 전합니다.
저를 초청해 주신 브라질 국민과 지우마 호제프 대통령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저보다 먼저 여기에 서서 연설한 훌륭한 연사들에게도 감사 드립니다.
저는 이 자리에서 몇 가지 의문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오후 내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발전과 빈곤을 없애는 문제에 대해 논의해왔습니다.
과연 우리의 본심은 무엇입니까? 현재 잘살고 있는 여러 나라의
발전과 소비 모델을 흉내 내자는 게 아닙니까?
여러분들에게 묻습니다.
독일 가정에서 보유한 자동차와 같은 수의 차를
인도인이 소유한다면 이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가 숨 쉴 수 있는 산소가 어느 정도 남을까요?
더 명확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서양의 부유한 사회가 하는 그런 소비 행태를 세계의 70~80억 사람이
할 수 있을 정도의 자원이 지구에 있을까요? 그게 가능합니까?
아니면 언젠가 우리가 다른 논의를 해야만 할까요?
왜냐하면, 우리가 사는 이 문명은 우리가 만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문명은 시장 경제와 경쟁이 낳았습니다.
그리고 무한의 소비와 발전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장경제가 시장 사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시장 경제가 자원을 찾아
세계 곳곳을 다니는 세계화를 만들었습니다.
우리가 세계화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세계화가 우리를 통제하고 있습니까?
이런 무자비한 경쟁에 바탕을 둔 경제씨스템 아래서
우리가 연대나 더불어 살아가자는 논의를 할 수 있나요?
어디까지가 동료이고 어디까지가 경쟁 관계인가요?
제가 이런 말씀을 드리는 이유는
이번 행사의 중요성을 비판하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우리 앞에 놓인 큰 위기는 환경의 위기가 아닙니다.
그 위기는 정치적인 위기입니다.
현대에 이르러 우리는 인류가 만든
이 거대한 세력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도리어, 이 같은 소비사회에 통제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발전을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닙니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지구에 온 것입니다.
인생은 짧고 바로 눈앞에서 사라지고 맙니다.
생명보다 더 귀중한 것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량소비가 세계를 파괴하고 있음에도 우리는 고가의 상품을 소비하는
생활 방식을 유지하기 위해 인생을 허비하고 있습니다.
소비가 사회의 모토인 세계에서
우리는 계속해서 많이 그리고 빨리 소비를 해야만 합니다.
소비가 멈추면 경제가 마비되고 경제가 마비되면
불황이라는 괴물이 우리 앞에 나타납니다.
대량소비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수명을 단축해야 하고
가능한 한 많이 팔도록 해야 합니다.
즉, 10만 시간을 사용하는 전구를 만들 수 있어도
1,000시간만 쓸 수 있는 전구만을 팔아야 하는 사회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게 긴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전구는 이런 사회에서는
좋은 물건이 아니기 때문에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사람들이 더 일하고 더 많이 팔 수 있게 하려고 '일회용 사회'를 지속해야 합니다.
우리가 악순환에 갇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이것은 분명히 정치 문제이고 지도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써서 세계를 이끌어 가야 합니다.
동굴에서 살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시장을 통제해야만 한다는 것을 말씀 드리는 것입니다.
제 부족한 식견으로 보면 우리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는 정치적인 것입니다.
먼 옛날의 현자들, 에피쿠로스, 쎄네카, 아이마라 민족까지 이렇게 말합니다.
"빈곤한 사람은 조금만 가진 사람이 아니고 욕망이 끝이 없으며
아무리 많이 소유해도 만족하지 않는 사람이다”
이것은 문화적인 문제입니다.
저는 국가의 대표자로서 리우 회의에 그러한 마음으로 참가하고 있습니다.
제 연설 중에는 귀에 거슬리는 단어가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수자원 위기와 환경 위기가 문제의 근본 원인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가 만든 사회 모델인 것 입니다.
그리고 반성해야 할 우리들의 생활방식인 것입니다.
저는 환경자원이 풍부한 작은 나라의 대표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은 300만 명 밖에 안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가장 맛있는 1,300만 마리의 소가 있습니다.
염소도 800만에서 1,000만 마리 정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식량, 유제품, 고기를 수출하는 나라입니다.
아주 작은 나라임에도 토지의 90%가 비옥합니다.
제 동지들인 노동자들은 8시간 노동을 쟁취하기 위해 싸웠습니다.
그리고 지금은 6시간 노동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6시간 노동을 하게 된 사람들은
다른 일도 하고 있어 결국 이전보다
더 오랜 시간 일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그는 오토바이나 자동차 등의 구매에 들어간 할부금을 갚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가 그 돈을 다 갚고 나면 자신이 저처럼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노인이 되어 있고,
자신의 인생이 이미 끝나간다는 것을 깨달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묻습니다.
이것이 인류의 운명이 아닌가요? 라고.
제가 말하려는 것은 너무도 간단합니다.
개발이 행복을 가로 막아서는 안됩니다.
개발은 인류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만 합니다.
개발은 행복, 지구에 대한 사랑, 인간관계, 아이 돌봄,
친구 사귀기 등 우리가 가진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줘야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가진 가장 소중한 자산은 바로 행복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싸울 때
우리는 환경 문제의 가장 핵심 가치가
바로 인류의 행복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위 연설문의 주인공은 지난2015년 2월 말 퇴임한 우루과이 대통령인 '호세 무히까' 입니다.
한국에서도 몇년 전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대통령' 으로 유명세를 탄바 있습니다
금년 2월 말 퇴임을 앞둔 이 시점에 그의 과거와 현재를 다룬 신간이
베스트셀러로 떠오르며 10여개국에 번역 출판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의 약력을 요약해보면
1935년 5월 우루과이 출생
60년대 초부터 투빠마로스(반정부 무장 게릴라 단체) 활동
1970년 투옥 후 탈옥 다시 또 붙잡힘
게릴라 활동 중 6번 총에 맞음.
85년 군부 독재 정권이 무너지고 나서 사면 후 정계 투신
14년간의 감옥생활
1999년 상원의원
2005년 농목축수산부장관(그 당시 대통령 따바레 바스께스)
2010년 대통령 취임
그의 집권 기간중
대통렬 궁을 노숙자 쉼터로 내어줌
대통령 월급 1,300 만원중 90%를 빈민주택기금으로 기부
차는 28년째 타고 다니는 폭스바겐 비틀
대통령 경호원 2명
집은 33년째 살고있는 우루과이 전통가옥
집권이후 우루과이 매년 5.5%대의 경제 성장률을
현재 우루과이 국민소득 15,000불 이상
우루과이 국민 65%이상의 지지를 받음
'글모음 > 이런 저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아주대로 만든 지팡이 청려장(靑藜杖) (0) | 2015.03.18 |
---|---|
아버지 조심하세요.. (0) | 2015.03.15 |
외국인이 본 한국인의 이중인격 (0) | 2015.02.24 |
한국 주재 외국인들이 본 한국, 한국사람 (0) | 2015.01.16 |
아내의 칭찬은 마약이었다 (0) | 201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