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이무기
안전한 벌초를 위한 상식 본문
꼭 알아두세요!!
안전한 벌초를 위한 상식
■ 가을철 안전사고란?
- 가을철에는 등산을 하거나 벌초, 성묘 등으로 산이나 들을 찾게 되는 경우가 많아 지면서 벌이나 뱀에 의한 피해,
예초기 사용 사고 등 크고 작은 가을철 안전 사고가 자주 발생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가을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행동 요령
○ 뱀 물림
- 벌초시에는두꺼운등산화를반드시착용한다.
- 잡초가 많아 길이 잘 보이지 않을 때 지팡이나 긴장대로 미리 헤쳐 안전 유무를 확인한다.
응급 처치 요령
- 뱀에 물린 사람은 눕혀 안정시키고 나서 움직이지 않게 한다.
- 물린 부위가 통증과 함께 부풀어 오르면, 물린 곳에서 5~10㎝ 위쪽(심장 쪽)을 끈이나 고무줄, 손수건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지 않게 하고,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한다.
- 뱀에 물린 부위를 입으로 빨아내는 방법은 입에 상처가 있거나 충치가 있는 경우 매우 위험하다.
- 독사는 머리가 삼각형이고 목이 가늘며, 물리면 두 개의 독니 자국이 나타난다.
- 뱀에 물린 후 가능한 경우, 휴대전화기 또는 카메라로 뱀을 찍어 의사에게 보이면 정확한 해독제를 신속히 조치할 수 있다.
○ 벌 쏘임
- 벌을 자극할 수 있는 강한 냄새를 유발하는 향수, 화장품, 헤어스프레이 등의 사용을 자제한다.
- 노란색·흰색 등 밝은 계통과 보푸라기나 털이 많은 재질의 의복은 피하고 가능한 한 맨살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 벌초를 시작하기 전에 벌초할 곳을 미리 둘러 보며 지형을 익히고, 지팡이나 긴 막대 등을 사용해 벌집이 있는지 사전에
확인한다.
- 벌집을 발견한 경우 무리하게 작업을 강행 하지 말고 보호 장구를 착용한 후 분무기(스프레이) 살충제 등을 사용하여
벌집을 제거하거나, 불가능할 때 119에 신고한다.
- 부주의로 벌집을 건드려서 벌이 주위에 있을 때에는 벌을 자극하지 않도록 손이나 손수건 등을 휘두르지 말고,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가능한 한 낮은 자세를 취하거나 엎드린다.
-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반드시 해독제와 지혈대 등을 준비하고 사용법을 미리 익혀둔다.
- 간혹 체질에 따라 쇼크가 일어날 수 있는 사람은 등산과 벌초 등 야외활동을 자제한다.
- 야외활동 시 소매 긴 옷과 장화, 장갑 등 보호 장구를 착용한다.
응급 처치 요령
- 벌에 쏘였을 때 벌침은 핀셋보다 신용카드 등으로 피부를 밀어 뽑아낸 후 얼음 찜질을 하고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른 후 그늘에서 안정을 취한다.
※ 응급약품이 없을 때 찬물 찜질이나 식초 또는 레몬주스를 발라 응급조치한다.
- 체질에 따라 과민성 반응에 의해 쇼크로 호흡곤란이 발생할 때 119에 신고한 후 허리끈이나 꽉 조이는 옷 등을 풀어서
그늘진 곳으로 옮겨 인공호흡을 한 후 이송한다.
○ 예초기
- 예초기 사용 시 칼날이 돌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하고, 목이 긴 장화나 장갑, 보호안경 등 안전 장구를 착용한다.
- 예초날 안전장치(보호덮개)를 반드시 부착한다.
- 예초기 각 부분의 볼트와 암나사(너트), 칼날의 조임 등 부착상태를 반드시 점검한다.
- 평평한 곳은 3도 날이나 기타 금속 날을 사용해도 좋지만 초보자는 안전한 나일론 커터를 사용하며, 봉분이나
비석주변에는 나일론 커터를 사용한다.
- 예초기 칼날은 KPS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사용한다.
- 작업 중에는 반경 15m 이내에 사람을 접근시키지 않도록 하며, 작업을 중단 하거나 이동할 때는 엔진을 정지시킨다.
- 작업 주위는 벌집, 뱀 등이 있는지 확인한다.
응급 처치 요령
- 작업 중 칼날에 부딪힌 작은 돌덩이 등의 이물질이 눈에 들어갔을 때는 고개를 숙이고 눈을 깜박거리며 눈물이 나도록 해
이물질이 자연적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 손으로 눈을 비벼 이물질을 강제로 빼내려 하면 오히려 더 깊이 들어가 상처가 악화할 수 있음
- 예초기 칼날에 다쳤을 때 깨끗한 물로 상처를 씻고 소독약을 바른 후 깨끗한 수건이나 천으로 감싸고 병원으로 가서치료한다.
- 예초기 날에 의해 손가락 등이 절단되었을 때는 지혈을 한 뒤, 절단된 부위를 생리식염수나 물로 씻은 후 멸균 거즈로 싸서
비닐봉지나 플라스틱 용기로 포장한 후 신속하게 병원으로 간다.
금초(禁草), 벌초(伐草) 사초(莎草)의 차이점
1).금초(禁草)는 금화벌초(禁火伐草)의 준말로서, 무덤에 불조심하고 때맞추어 풀을 베어잔디를 잘 가꾼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2).벌초(伐草)는 무덤의 풀을 깎아 깨끗이 한다는 뜻으로 나타내는 말.
3).사초(莎草)는 오래되거나 허물어진 무덤을 보수하거나 떼(잔디)를 입히어 잘 다듬는 일을 이르는 말 ,
*.금초(禁草)와 벌초(伐草)는 거의 같은 뜻을 나타내는 말이며,보통 한가위 한달 전인 음력 7월 15일경부터
한가위 전까지 실시하는데 이시기에 산소에 금초 또는 벌초를 실시하면 잡초들의 성장이 거의 마무리되는 시기이며,
일년중 우리민족의 최대명절을 맞이하여 자손들이 조상님들이 계시는 장소를 정성스럽게 관리하는 것을 이르는 것이며,
그리고 금초 또는 벌초는 자손들이 필요에 의해 언제라도 해도 관계없다.
*.사초(莎草)는 관례적으로 한식이나 또는 봄철에 윤달이 들어 있는 때에 시행들 하고있음.
'자료모음 >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어 무침 만들기 (0) | 2010.11.17 |
---|---|
우리나라 자동차 이름과 뜻 (0) | 2010.11.14 |
의학 정보 (0) | 2010.09.02 |
相剋(상극)인 식품23가지 (0) | 2010.07.14 |
우리집 매실 진액만들기 (0) | 201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