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 이무기

뇌졸중의 증상및 예방. 본문

자료모음/생활.건강정보

뇌졸중의 증상및 예방.

천수만이무기 2010. 3. 20. 12:28

 

           뇌졸증 사망원인 2위

                   2008년도 우리나라 사람의 사망원인은  1위 암, 2위 뇌졸중, 3위 심장질환으로 뇌졸중이 2위를 차지하고 있고 2030년에는

                   고령화로 뇌졸중 발병률이 약 3배 증가할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렇다면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이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나타나는 신경학적 질환을 통칭하는 말이다.

                    예전에는 중풍으로 얘기했던것들도 모두 뇌졸중에 해당한다.뇌졸증은 크게뇌출혈과  뇌경색이 있다.

                    뇌출혈은 뇌로가는 혈관중 일부분이 터져서 생기는 현상이다.

                    뇌경색은 예전에는 뇌출혈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뇌경색이 더 많아지고 있다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

                    우리 몸에서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은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혈액공급의 20%를 담당하는 척추동맥이고,

                    두 번째는 혈액공급의 80%를 담당하는 경동맥이다.

                    보통 이 경동맥에 콜레스톨이 쌓이면서 동맥경화가 일어나면 혈관이 점점좁아지고 혈전 즉 피떡이 생기게되고,

                    혈전이 핏속을 돌아 다니다가  뇌혈관을 막게 되면 뇌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지못해 뇌경색이 일어난다.

                    또한 막혔던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 되는 것이다
     

             뇌졸중 O X

                     뇌졸중이 심하면 치매가 생긴다 ? O

                         뇌졸중과 치매는 전혀 다른병이지만 뇌졸중이 반복적으로 생기면 여러곳이 막히거나

                         뇌의 특정부위가 마비되어 치매가 생길수 있다.

                     저혈압도 고혈압만큼 뇌졸중에 위험하다 ? X

                         저혈압이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중증 심장병 환자에게는 저혈압이  위험하지만

                         보통 사람에게는 문제가 안된다. 고혈압은 뇌졸중 발병을 높이지만 저혈압은 그렇지 않다.
 

              뇌졸중에 나쁜 습관

                     1) 넥타이를 꽉 조여 매는 것. 넥타이는 손가락이 2개정도 들어갈 정도로 느슨하게.
                        (넥타이를 꽉조여매면 머리로 올라가는 경동맥 같은 혈류에 나쁘다)

                     2) 커피를 자주 마시는 것. (2~3잔 정도는 괜찮지만 습관적으로 마시면 고혈압 환자에게는 안좋다)

                     3) 키 높이 구두.

                     4) 과도한 음주와 흡연.

                     5) 음식을 짜게 먹는것과 기름기 음식 과다섭취.
 

               뇌졸중의 전조증상

                       뇌졸중은 평소 특별한 증상없이 갑자기 찿아오기 때문에 소리없는 저승사자라고 한다.

                       하지만 뇌졸중, 특히 뇌경색의 경우 많게는 40%의 환자가 쓰러지기전에 전조증상이 있었다고 한다.

                       이런 전조증상이 있을때 바로 병원으로 오면 뇌졸중으로 쓰러지기전 미리 발견해 치료 할수 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한번쯤 뇌졸중을 의심해 볼수 있다.

                       1) 한 쪽 방향의 얼굴, 팔다리에 힘이 빠지고 저리다.

                       2) 갑자기 눈이 안보이거나 물체가 둘로 보인다.

                       3) 서 있거나 걸을때 중심잡기가 힘들고 한쪽으로 넘어진다.

                       4) 발음이 어눌해지고 표현 능력이 떨어진다.

                       5)두통이 심하고 어지러우며 토한다.
 

              미니 뇌졸중에 관심을 갖자.

                웨스턴 온타리오대학 연구팀이 “미 신경학 저널”에 밝힌 지난 4년에 걸쳐 뇌졸중 진단을 받은 총 1만 6,4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뇌졸중을 앓고 있는 사람 8명중 1명 정도는 “일과성 뇌허혈 발작“이라는 경미한 뇌졸중이 미리 발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것을 미니 뇌졸중이라하는데 뇌에 일시적으로 혈액공급이 중단되지만 곧 혈전이 녹으면서 혈관기관이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대부분 30분에서 길게는 24시간 이내에 증상이 사라지는 것이다.

                이것을 경험한 사람은 아닌 사람보다 뇌졸중에 걸릴가능성이 10배 정도 높으며, 경험자중 5%는 한 달내에, 15% 3개월이내에,

                30%는 3년내에 뇌졸중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전조 증상이 있을 경우 곧 회복 되더라도 간과하지말고 빨리 병원을 찿는 것이 좋다.
 

             뇌졸중이 발병했을 때 !

                뇌졸중이 발병하면 그때부터 뇌는 손상을 받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얼마나 빨리 병원을 찿아서 혈관을 뚫어주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느냐에 따라 치료후   신체마비와 같은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생명을 구할수 있다.

                보통 3시간을 뇌졸중의 골든타임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행동은 시간만 지체하고 치료에 도움이 안되니 하지 말아야 한다

               
                * 우황 청심환을 먹이거나 물을 먹이는 것은 금물.

                * 빰을 때리거나 물을 끼얹는것도 시간만 지체될수 있으므로 하지않는 것이 좋다.

                * 손발을 따거나 주무르는 것 역시 시간만을 지체할 뿐이다.
 

             뇌혈관을 예방하는 습관

                뇌혈관을 막히는뇌경색! 허리둘레를 줄이자!

                뇌경색은 한마디로 뇌혈관이 막혀서 뇌에 피가 통하지 않는 것이다. 수도관에 비유하면 녹이 슬어 막히거나 고장나서 물이

                흐르지 않는것과  비슷하다. 뇌경색은 피떡, 즉 혈전이 생겨 우리 몸을 떠돌아 다니다가 뇌혈관을 막아서 피가 통하지 않는 현상이다.

                이렇게 되면 뇌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할수 없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복부  비반은 뇌경색의 원인인 경동맥 협착을 유발한다.

                경동맥이란 얼굴과 머리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이다. 이 혈관의 내벽이 동맥경화증 등으로 좁아진 상태를 경동맥 협착증이라 하는데

                복부비만인 사람은 이 경동맥에 협착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 진다. 남성은 약 36인치, 여성은 34인치 이상이면 복부 비만에 해당한다.        

 
            뇌 혈관이 터지는 뇌출혈! 혈압을 기억하자!

                뇌출혈은 뇌혈관이 갑자기 터지면서 뇌 안에 피가 고이는 것이다. 뇌경색이 수도관이  녹이 슬어 막히거나 고장나서 흐르지 않는것이라면,  

                뇌출혈은 수도관이 얼어서 터져 물이 나오지 않고 옆으로 새는 것이다.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 또는 추위 때문에 혈관이 좁아지는 겨울철에 뇌졸중을 더욱 조심해야하고, 하루중에서는 오후 6~7시가 가장 위험하다. 

                대한뇌혈관학회가 뇌출혈로 입원한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오후6~7시에 발병한 환자가 제일많다.

                뇌출혈의 경우 활동량이 많을때 발생하는경향이 있는데, 활동량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간대가  저녁이고, 하루의 피곤과 스트레스등이 뇌혈관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뇌출혈의  원인중 대표적인 것이 고혈압이다. 고혈압이 있는 환자는 정상인보다 뇌졸중 발생율이 3배나 높아진다.

                정상인의 혈압은 수축기 120이하, 이완기 80이하다. 수축기 140 이사이거나 이완기 90이상이면 이중 한가지만 해당되어도 고혈압이라고 할수 있다.

                뇌졸중 예방에 좋은 실내 자전거 타기운동 "실내 자전거 스피닝"은 “에어로빅”처럼 음악에 맞춰 단체로 실내 자전거를 타는 운동으로 나이와

                건강상태에따라 운동강도를 조절할수 있어서 연세 드신분들도 안전하게 근력을 키울수 있는 운동이다. 

                                                                                                                                  <자료제공 : KBS 2TV 비타민 2010년 3월 17일8시50분방송>
   

'자료모음 > 생활.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수신료면제 신청절차 간소화  (0) 2010.04.07
주부들이 알아두면 좋은 상식  (0) 2010.03.31
한국의 약초(山果類)  (0) 2010.03.13
한국의약초(根.木.皮)  (0) 2010.03.13
한국의 약초(山采類)  (0) 2010.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