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료모음 (378)
천수만 이무기
산딸기 보리똥 산 뽕 구찌뽕 구기자 오미자 으 름 산 초 산다래 머 루 복분자 익은 열매는 상쾌한 맛이 있어 그대로 먹거나 3배량의 소주에 담가 복분자주로 먹는데 피로회복과 식용증진에 좋고 약재는 익기전 초여름 푸른 열매를 채취 말렸다가 가루로 빻아 복용하던지 물에 달여 복용하는데 자양,강..
산 삼 더 덕 산 마 도라지 뚱딴지 둥글래 백작약 참당귀 모 란 삼 목 물푸레 황경나무 사시나무 산벚나무 자귀나무 불로초 예로부터 신비의 영약이라 널리 알려진 것으로 산삼을 크게 분류한다면 천삼(천종), 지삼(지종), 장뇌삼(인종)으로 구분한다. 천삼: 야생삼으로 조류가 산삼의 종자를 먹은 뒤 깊..
가죽나무 엄나무 두릅나무 오가피 참나물 미나리 미나리아 참취 곰취 미역취 개미취 수리취 고들빼기 머위 고사리 고비 달래 돌나물 우산나물 쑥부쟁이 엉겅퀴 냉이 씀바귀 쑥,약쑥 민들레 밀나물 뱀딸기 쇠뜨기 소무릎 원추리 방아풀 꿀풀 마가목 메꽃 모싯대 비비추 물봉선 얼레지 용담 왜현호색 ..
제야의 종은 왜 33번인가 새해 첫날이 밝는 자정, 서울 종로 보신각에서 제야의 종을 33번 치는 것은 조선시대에 이른 새벽 사대문 개방과 통행금지 해제를 알리는 타종, 즉 파루를 33번 친데서 연유한 것이다. 시계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해를 보고 시간의 흐름을 짐작했다. 해시계가 보급된 후엔 좀 나..
우리 몸에 좋은 무우, 제대로 알고 맛있게 먹어요!! 무우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로 꼽히는데, 그 재배역사가 오래된 채소이다. 양귀비목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에 속하는 1년생 또는 2년생 식물로 전 세계에 걸쳐 여러 가지 품종으로 재배되는데, 식물분류학상으로는 모두 단일종이다.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