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수만/주변 볼거리 (124)
천수만 이무기
여하정 여하정은 안회당 뒤뜰과 연접한 소당(小塘) 뒤에 있는 목조와즙의 6각형으로 된 수상정(水上亭)이다. 규모는 3평5합5작에 불과하나, 옛 못을 연련하여 누운 고목은 고색이 창연하고, 수면을 장식한 연화는 청홍이 색색인데, 수천의 금잉어들은 정동을 겸비한 동동화의 화폭이다. 옛 청수정자리에..
안회당은 홍주군의 동헌으로 22칸의 목조 와가이다. 옛 정사당이 해체될 때의 상량문에 의하면 상량시기는 숙종 4년(1678) 4월 10일 이었고 좌향은 유좌묘향을 이어 지었다. 홍성군에 신청사가 건축되기 이전에는 18인의 홍주목사와 여러 홍주 군수가 행정을 집행하던 사무실이었다. 대원군이 안회당이라..
'현재 홍주성은 810m구간만 남아있고 성내에 있던 관아의 건물로 조양문,홍주아문,안회(동헌),여하정 등 4동의 건물이 현존하고 있다' 홍주성 수성비다. 뒷면에 홍주성쌓기를 감독한 사람과, 작업을 주도한사람의 이름이있다. 순조 때 홍주성(洪州城)을 보수한 사실을 기념하기 위한 기념비로 오관리 남..
이곳은 일제의 강압으로 을사조약이 체결된후, 전참판 민종식이 중심이된 의병이 홍주성에서 일본군에 대항하여 싸우다 순국한 수백명의 유해가 합장되어 있는 묘소이다. 의병장 민종식은 1906년 3월 의병을 모아 남포와 보령 등지를 습격하여 병기를 확보하고, 충청 서부지역의 거점인 홍주성을 점령..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 29 (중요민속자료 제 231 호 1996.02.09) 1996년 2월 9일 중요민속자료 제231호로 지정되었다. 엄찬(嚴璨) 은 사육신(死六臣) 성삼문(成三問)(사육신 1418-1456년 태종 18년-세조 4년)의 외손(外孫)이다. 병자사화 에 연루되어 집안의 대(代)가 끊기자 성삼문의 둘째딸은 아들 엄찬을 데리고 부..